국제우주정거장, ISS가 오는 2030년 임무를 종료할 것으로 예고되면서 새로운 우주정거장 개발을 위한 각국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는 민간 기업이 섬유를 이용해 풍선처럼 펼치는 우주 시설을 개발하면서 우주정거장 개발에 한 걸음 다가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998년 운영을 시작한 국제 우주정거장이 오는 2030년이면 문을 닫게 됩니다. <br /> <br />임무 수명인 20년을 훌쩍 넘기고도 기간을 연장해 왔지만, 노후화로 인해 이제는 퇴거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차기 우주정거장 설치를 위한 경쟁도 치열해지는 상황. <br /> <br />중국은 이미 독자적인 우주정거장, 톈궁을 건설했고 미국과 러시아도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블루오리진과 손잡고 우주정거장을 개발 중인 미국 민간기업 시에라스페이스가 우주로 보낼 구조물의 본격적인 시험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이 만든 건 우주정거장의 핵심 주거 시설로, 마치 풍선과 같은 방식의 팽창식 모듈입니다. <br /> <br />섬유로 만들어져 접을 수 있지만, 부풀리면 건물 3층 높이에 지름은 8.3m에 달하는 거대한 공간이 됩니다. <br /> <br />보통 우주 정거장을 건설하려면 40번 넘게 지구를 오가며 부품을 조립해야 하는데 이를 이용하면 왕복 횟수가 3분의 1 이하로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또 내열 소재로 코팅된 섬유는 녹는점이 340℃에 달해 열에 강하고 자외선 차단 기능도 있어 우주인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이 구조물이 우주 압력에 견딜 수 있는지 시제품으로 시험한 결과, 나사가 정한 안전 기준을 27%가량 초과해서 만족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리앤 톰슨 / 시에라스페이스 시스템 엔지니어 : 나사가 정한 안전 기준을 통과했지만 모듈이 터지지 않았습니다. 우리는 시제품이 폭발할 때까지 얼마나 더 큰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 보기 위해 다시 시험했습니다.] <br /> <br />시에라스페이스는 팽창식 모듈을 중심으로 민간 우주정거장인 '오비탈 리프'를 2030년 이전에 건설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기존 우주정거장과 같이 우주인의 생활을 돕는 것은 물론 연구 시설과 물류 운송 시스템 등을 갖춘 '다용도 편의 시설'을 만든다는 것인데, 민간 우주정거장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사이언스 이동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은 (d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020423323764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